페루 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페루 요리는 토착 식재료와 기술,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이민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로 인해 풍부한 식재료를 바탕으로 지역별 특색 있는 요리를 선보인다. 고대 페루 사회에서 재배된 퀴노아, 카니와 등의 작물은 현대에도 슈퍼푸드로 재조명받고 있으며, 훔볼트 해류의 영향으로 해산물이 풍부하여 세비체와 같은 요리가 발달했다. 스페인 식민지 시대에는 아프리카 노예들의 영향으로 투론 데 도냐 페파와 같은 요리가 생겨났으며, 중국 요리의 영향을 받은 치파(Chifa) 역시 페루 요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페루는 세계 12대 메가다양성 국가 중 하나로, 안데스, 해안, 아마존 지역의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요리가 있으며, 최근에는 페루 요리의 혁신을 통해 국제적인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대표적인 요리로는 세비체, 로모 살타도, 폴로 아 라 브라사와 같은 요리가 있으며, 피스코 사워와 치차 모라다와 같은 음료도 페루를 대표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페루 요리 | |
---|---|
페루 요리 | |
![]() | |
다른 이름 | 페루 음식 |
지역 | 페루 |
특징 | 다양한 기후대와 풍부한 식재료 토착 문화,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문화의 융합 매운맛과 신맛의 조화 |
역사 | |
기원 | 고대 잉카 시대 |
영향 | 스페인 아프리카 중국 일본 이탈리아 |
주요 재료 | |
곡물 | 쌀 옥수수 퀴노아 |
채소 | 감자 (다양한 종류) 고추 (아히) 토마토 양파 |
육류 | 닭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기니피그 (쿠이) |
해산물 | 생선 새우 문어 |
기타 | 라임 고수 우유 치즈 |
대표 요리 | |
세비체 | 생선을 라임 주스에 절인 요리 |
로모 살타도 | 소고기, 양파, 토마토 등을 간장 소스에 볶은 요리 |
아히 데 가이나 | 닭고기를 아히 아마리요 (노란 고추) 소스로 만든 크림 스튜 |
파차망카 | 땅속에서 고기, 감자, 옥수수 등을 함께 구워 먹는 전통 요리 |
안티쿠초스 | 소 심장 꼬치구이 |
카우사 | 으깬 감자에 참치, 닭고기, 아보카도 등을 층층이 쌓은 요리 |
타말 | 옥수수 반죽에 고기, 채소 등을 넣어 찐 음식 |
음료 | |
피스코 | 포도 증류주 |
치차 모라다 | 자색 옥수수로 만든 음료 |
잉카 콜라 | 노란색 탄산음료 |
지역별 요리 | |
해안 지역 | 해산물 요리 (세비체, 티라디토 등) |
안데스 지역 | 감자, 옥수수, 고기 등을 이용한 요리 (파차망카, 오얀타이토 등) |
아마존 지역 | 강 물고기, 열대 과일 등을 이용한 요리 (후아네, 파타라스카 등) |
기타 정보 | |
특징 | 페루 요리는 다양한 기후와 지형에서 나는 풍부한 식재료와 잉카, 스페인, 아프리카, 아시아 등 다양한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맛과 향을 지니게 되었음. |
인기 | 최근 세계적으로 페루 요리의 인기가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페루 요리사들이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음. |
2. 역사
페루 요리는 토착 식재료와 기술에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이민의 영향이 더해져 만들어졌다.
잉카 제국 시대부터 먹던 잉카 요리에 스페인 요리가 더해지고, 중국과 일본 이민자들에 의해 중국 요리와 일본 요리가 전해졌다. 또한 노예로 끌려온 아프리카 사람들에 의해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요리가 융합되어 수 세기에 걸쳐 현재의 페루 요리가 탄생했다.
미국의 요리 평론가 에릭 아시모프(Eric Asimov)는 페루 요리를 "긴 역사 속에서 다양한 요리가 융합된 요리"라고 높이 평가했다[26]. 영국의 잡지 『레스토랑』은 2017년 "세계의 명점 50선"에 페루 리마의 레스토랑 3곳을 선정했고, 월드 트래블 어워즈에서는 2012년부터 2019년까지 8년 연속으로 페루를 "세계를 리드하는 미식의 데스티네이션"으로 선정하는 등, 페루 요리는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요리로 인정받고 있다.[2]
페루는 주변 국가에 비해 음식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작은 식당에서도 전채, 수프, 주요리, 디저트를 세트로 먹을 정도로 페루 사람들의 음식에 대한 열정이 강하다.
페루 요리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진한 양념.
- 풍부한 색채.
- 매운 고추를 사용.
- 안데스 산맥, 태평양에서 얻는 신선한 식재료.
- 전통적인 기법을 응용한 현대 요리.
주식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해안 지역에서는 인디카 쌀을 자주 먹으며, 산악 지역에서는 감자, 옥수수, 유카(카사바) 등을 먹는다. 아마존 지역에서는 유카, 쌀 외에 푸른 바나나도 먹는다.
페루 안데스 산맥의 다양한 고도와 적도와의 근접성은 열대 우림부터 강설 지역까지 다양한 미기후와 생물종을 존재하게 한다. 페루는 세계 12대 메가다양성 국가 중 하나로, 지구상 104개 기후대 중 84개 기후대를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덕분에 페루는 일년 내내 과일과 채소를 재배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페루 해안을 따라 흐르는 차가운 훔볼트 해류는 다양한 어류와 조개류가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페루가 세계 주요 어업 국가 중 하나가 되도록 돕는다.[13]
페루는 다양성이 풍부한 국가이며, 이는 음식에도 반영되어 있다. 1527년 스페인인들은 아프리카 사람들을 데려오기 시작했으며, 당시 페루 리마 인구의 30~40%는 아프리카계였다. 아프리카계 여성들은 가사 노동을 하거나 음식을 팔았으며, 아프리카의 영향은 페루의 음식 유산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2. 1. 선 콜럼버스 시대
현지 식재료는 감자, 옥수수, 퀴노아 및 다양한 안데스 곡물을 포함했다. 이 시기에는 현지 주민들이 험난한 안데스 산맥 지형에서 작물을 재배하고 경작할 수 있도록 정교한 농업 기술이 개발되었다.고대 페루 사회가 재배했던 일부 식물들은 현대 페루인들에 의해 재발견되었고, 과학자들에 의해 주의 깊게 연구되고 있다. 페루 토양과 기후의 특성, 그리고 제품의 영양학적 품질로 인해, 일부 페루 식물은 미래 영양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로는 퀴노아(필수 아미노산의 훌륭한 공급원)와 카니와가 있으며, 이들은 곡물처럼 보이고 조리되지만 가짜 곡물이다. 영양학자들은 또한 마카와 같은 뿌리 채소, 그리고 키위차와 같은 곡물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1985년부터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퀴노아, 키위차, 마카를 우주 비행사 식단에 사용해왔다. 덩이줄기나 퀴노아(원주민 언어인 케추아어로 킨와)와 같은 안데스 재료들은 페루 문화부 구성원들에 의해 홍보되었으며, 오프라 윈프리, NASA와 같은 유명인사들로부터 새로운 종류의 슈퍼푸드로 국제적인 지지를 받았다. 페루의 정부 관계자와 유명 셰프들은 이러한 노력이 농촌 농민들에게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고 국제적인 문화적 인식을 높였다고 주장하는 반면, 안데스 재료의 상업화는 원주민 토지에서 작물 다양성을 감소시켰다. 높아진 세계적인 수요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여 이러한 재료가 원주민 페루인들에게 덜 접근 가능해지고 있다.[8]
2. 2. 식민지 시대
16세기 스페인인들이 페루에 도착하면서 페루 요리는 큰 변화를 겪었다. 스페인인들은 양파, 마늘, 그리고 다양한 고기와 같은 새로운 식재료들을 들여와 페루 요리를 더욱 풍성하게 만들었다. 또한 튀김, 볶음과 같은 새로운 조리법을 도입하여 페루 사람들이 음식을 준비하는 방식을 바꾸어 놓았다.[2]2. 3.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영향
19세기 말, 페루에는 아프리카와 아시아 이민자들이 유입되면서 그들의 요리 전통을 가져왔다. 아프리카 노예들은 쌀과 콩을 섞어 튀겨 스테이크나 계란과 함께 제공하는 타쿠-타쿠(tacu-tacu)와 같은 요리를 소개했다.[2] 아프리카계 페루인들은 페루 음식 역사에 큰 영향을 주었다.[13] 도냐 호세파 마르마닐로는 투론 데 도냐 페파를 만들었는데, 그녀는 페루 리마에 살았던 아프리카계 페루 노예였다. 그녀의 디저트는 매년 10월에 열리는 밀라그로스의 주님(Señor de los Milagros) 축제 기간에 먹는다.[22]중국 이민자들은 소고기, 양파, 토마토, 감자 튀김을 볶아 만든 로모 살타도(lomo saltado)와 같은 요리를 만들었는데, 이 요리는 페루와 전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요리가 되었다.[2] ''치파''(Chifa, 만다린 단어 吃饭 "chī fàn"에서 유래, "밥을 먹다"는 의미)는 페루의 페루-중국 음식 (또는 페루-중국 퓨전 레스토랑)을 지칭하는 페루 용어이다. 많은 중국 재료를 페루에서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요리를 수정하여 많은 페루 요소(주로 스페인, 토착 및 아프리카)를 요리에 통합했다.
2. 4. 현대
페루 요리는 국경을 넘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2004년 페루 정부는 국가의 요리 전통을 홍보하고 외식 산업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 '미식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는 성공적이었으며, 2011년 7월 28일을 '국가 세비체(Ceviche)의 날'로 선포한 것은 페루 요리에서 이 요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1970년대부터 토착 식물들을 널리 알리려는 노력이 있었다. 고대 페루 사회가 재배했던 일부 식물들은 현대 페루인들에 의해 다시 발견되었고, 과학자들에 의해 주의 깊게 연구되고 있다. 퀴노아(필수 아미노산의 훌륭한 공급원)와 카니와는 곡물처럼 보이고 조리되지만 가짜 곡물이다. 영양학자들은 또한 마카와 같은 뿌리 채소, 그리고 키위차와 같은 곡물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1985년부터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우주 비행사 식단에 퀴노아, 키위차, 마카를 사용해왔다. 덩이줄기나 퀴노아(원주민 언어인 케추아어로 킨와)와 같은 안데스 재료들은 페루 문화부 구성원들에 의해 홍보되었으며, 오프라 윈프리, NASA와 같은 유명인사들로부터 새로운 종류의 슈퍼푸드로 국제적인 지지를 받았다. 페루의 정부 관계자와 유명 셰프들은 이러한 노력이 농촌 농민들에게 경제적 기회를 창출하고 국제적인 문화적 인식을 높였다고 주장하는 반면, 안데스 재료의 상업화는 원주민 토지에서 작물 다양성을 감소시켰다. 높아진 세계적인 수요로 인해 가격이 상승하여 이러한 재료가 원주민 페루인들에게 덜 접근 가능해지고 있다.[8]
페루 요리는 기본 재료인 ''아히'' 고추로 종종 맵게 만들어진다. 페루 고추는 맵지 않지만 요리에 맛과 색을 더하는 역할을 한다. 쌀은 종종 페루 요리에 곁들여지며, 음식과 전통의 지역적 기원은 무수히 많은 조리법과 요리법을 낳는다.
Elias et al(2022)에 따르면,[24] 페루 요리가 국제 시장에 등장한 것은 현지 요리와 외국의 요리를 결합한 재전환을 통해서였다.
3. 지역적 다양성
페루는 잉카 제국, 페루 부왕령 및 공화국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민족이 섞였을 뿐만 아니라, 28개의[9] 개별 기후를 가진 기후적 다양성을 가진 국가이다. 문화와 기후의 다양성은 도시마다 다르므로 지리, 기후, 문화, 민족의 혼합이 지역 요리의 다양성을 결정한다.
잉카 제국의 잉카 요리에 스페인 요리가 더해졌고, 중국과 일본에서 온 이민자들에 의해 중국 요리, 일본 요리가 전해졌다. 또한 노예로 아프리카에서 끌려온 사람들에 의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요리가 수 세기에 걸쳐 융합되어 페루 요리가 탄생했다. 미국의 요리 평론가 에릭 아시모프(Eric Asimov)는 "긴 역사 속에서 다양한 요리가 융합된 요리"로 높이 평가하고 있다.[26]
주식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 해안 지역에서는 인디카 쌀을, 산악 지역에서는 약 3000종류나 되는 감자, 옥수수, 유카(카사바) 등을 반찬과 함께 먹는다. 아마존에서는 유카, 쌀 외에도 푸른 바나나도 먹는다.
3. 1. 해안 지역
태평양은 페루의 주요 수산 자원 공급원이다. 페루는 어류 및 기타 수생 생물의 풍부함이 엄청나며, 많은 해양 식물 및 동물 종은 페루에서만 발견된다. 각 해안 지역은 식물상과 동물상 개체군이 뚜렷하여 해역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에 따라 요리를 조정한다.
페루 요리인 세비체는 절인 생선이나 해산물 요리로, 여러 변형(순수, 혼합 또는 어패류 혼합)이 있으며 지역 적응의 좋은 예이다. 세비체는 해안의 거의 모든 페루 레스토랑에서 찾을 수 있으며, 짧게 절인 해산물 덩어리는 일반적으로 카모테(고구마)와 페루 쵸클로 세라노(옥수수) 커널과 함께 제공된다. 페루에서는 "세비체"라고도 표기할 수 있으며, 해안 요리의 대표 요리이자 페루인들에게 가장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이다.[10] 절임 양념은 안데스 칠리 고추, 양파, 스페인 사람들이 가져온 향긋한 라임 품종의 주스로 구성된다. 매운 요리로, 일반적으로 라임 주스에 칠리를 섞어 절인 흰살 생선(코르비나 또는 흰 농어 등)으로 만든 한 입 크기의 조각으로 구성된다. 세비체는 종종 생 양파, 삶은 고구마(카모테), 구운 옥수수(칸차)와 함께 제공된다.[10]
많은 페루인들은 세비체가 최음제이자 숙취 해소제라고 믿는다. 멕시코와 에콰도르에서 만들어진 세비체와는 달리, 페루에서는 토마토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인기 있는 것은 레체 데 티그레(호랑이 우유)인데, 이는 세비체에 사용되는 절임 양념에 대한 페루의 구어체 이름이다. 가볍고 매운 맛이 난다.
''추페 데 카마로네스''(새우 치오피노)는 페루 해안 요리에서 가장 인기 있는 요리 중 하나이다. 담수 새우(가재) 육수 수프, 감자, 우유 및 칠리 고추로 만든다. 아레키파 요리를 전문으로 하는 페루 레스토랑에서 자주 찾아볼 수 있다.
이민의 중심지이자 스페인 부왕령의 중심지인 리마와 페루 트루히요는 스페인 정복자들의 도착과 그 후의 이민자들의 물결에서 가져온 독특한 요리를 통합했다. 리마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국제 이민 외에도 20세기 후반부터 농촌 지역에서 도시, 특히 리마로의 강력한 내부 이동이 있었다. 이는 이민자들의 재료와 기술을 통합하여 리마의 요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크리올 요리는 이 세계적인 도시에서 가장 널리 퍼져 있다. 리마는 이탈리아 요리와 중국 요리(현지에서 ''치파''(chifa)라고 알려진 중페루 퓨전 요리)를 포함한 다양한 국제 요리를 선보이며 가장 인기가 많다. 쌀은 스페인에서 페루로 가져온 음식 중 하나이다. 차우파 볶음밥은 인기 있는 페루 요리 중 하나이다. 고추, 양파, 마늘, 간장, 달걀, 닭고기, 참기름, 생강, 커민으로 만든다. 중국식 볶음밥의 페루식 버전이다. 일본 요리, 특히 스시도 매우 인기가 있다.
안티쿠초는 다양한 페루 향신료에 절인 소 심장으로 만든 꼬치구이로, 삶은 감자 또는 옥수수와 함께 구워 제공된다. 거리 노점상에서 흔히 판매되지만, 크리올 음식 레스토랑에서도 찾을 수 있다.
거리 노점상에서 자주 판매되는 타말레는 고기나 치즈를 넣고 옥수수를 삶아 바나나 잎으로 싼 것이다. 타말레는 흔한 아침 식사이며, 종종 라임과 얇게 썬 생 붉은 양파, 아히 고추, 고수와 라임 주스 혼합물인 "살사 크리올라"와 함께 제공된다.

파파 아 라 완카이나 (완카요 스타일 감자)는 많은 레스토랑에서 즐겨 먹는 음식이다. 얇게 썬 삶은 감자를 양상추 위에 올리고 올리브를 곁들인 약간 매운 치즈 소스를 뿌려 낸다. 이 요리의 이름은 페루의 도시인 완카요에서 유래되었다.[11]
타쿠-타쿠는 콩, 쌀, 계란 프라이를 섞어 빵가루를 입히거나 팬에 굽고 살사 크리올라를 곁들인 스테이크 위에 올린 음식이다.
파파 레예나 (속을 채운 감자)는 으깬 감자에 다진 고기, 달걀, 올리브, 다양한 향신료를 넣고 튀긴 요리이다.
아로스 타파도 (덮인 쌀)는 파파 레예나와 같은 속을 사용하지만 속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쌀과 함께 제공된다.
폴로 아 라 브라사 (페루식 회전구이 또는 로스터 치킨)는 페루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식 중 하나이다. 다양한 페루 재료가 들어간 마리네이드에 절인 구운 닭고기를 뜨거운 재에 굽거나 꼬치에 구워 만든다. 이 요리에는 감자튀김, 샐러드, 다양한 크림(페루식 마요네즈, 케첩, 올리브 소스, 치미추리 및 모든 종류의 아히(칠리) 소스)이 함께 제공된다.
''산코차도''는 ''유카''(카사바)와 감자가 들어간 든든한 소고기 및 야채 수프이다.
현지 주식은 로모 살타도로, 살타디토라고도 알려져 있다. 얇게 썬 소고기(안심)는 마늘, 커민 가루, 토마토, 스페인 양파와 함께 볶아서 이미 튀긴 감자, 고수와 파슬리와 섞어 볶고 흰 쌀밥을 곁들인다.
''아로스 콘 폴로'' (닭고기 볶음밥)는 닭고기와 섞인 풍미가 풍부한 쌀밥으로 즐겨 먹는다.
''추페 데 페스카도'' (생선 치오피노)는 리마와 해안에서 인기가 있다.
''리마 버터빈 샐러드''는 통째로 익혀 식힌 리마 버터빈(페루에서는 ''파야레스''라고 함)을 양파, 토마토, 녹색 아히 혼합물과 섞어 라임 주스, 오일, 소금, 식초로 절인 샐러드이다. 리마 버터빈(''파야레스'')은 최소 6,000년 동안 페루 요리의 일부였다.
butifarra (sándwich)|ca|butifarra (entrepà)es는 "페루 햄", 얇게 썬 양파, 얇게 썬 칠리 고추, 라임, 소금, 후추, 오일을 넣은 흰 빵 샌드위치로, ''하몬 델 파이스''라고도 한다.
''카우사''는 으깬 노란 감자 경단에 라임, 양파, 칠리, 오일을 섞은 것이다. 아보카도, 닭고기, 참치 또는 조개류를 혼합물에 추가할 수 있다. 카우사는 리마에서 인기가 있으며, ''카우사 리메냐''라는 이름으로 구별된다. 카우사는 일반적으로 삶은 달걀과 올리브와 함께 차갑게 제공된다.
''카라풀크라''는 돼지고기와 닭고기, 말린 감자, 빨간 칠리, 땅콩, 커민으로 만든 맛있는 스튜이다. 아프리카계 페루 이카 지역의 버전은 신선한 감자를 사용한다.
''엠파나다''(고기 파이)는 스페인에서 식민 시대에 도입되었으며, 나중에는 스페인 재료 부족으로 인해 수정되었을 수 있다. 페루에서는 닭고기, 쇠고기 또는 치즈로 채운다. 올리브와 때로는 삶은 달걀과 건포도는 독특한 맛을 낸다.
''아히 데 가야나''(칠리 치킨 또는 페루식 크림 치킨)는 아히 아마릴로es(페루 노란 칠리), 치즈, 우유, 빵으로 만든 크림처럼 노란색이고 매운 소스와 함께 제공되는 얇게 찢은 닭고기 조각으로 구성된다.
''에스카베체 크리올로''(절인 생선)는 "에스카베체"라는 단독으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생선 에스카베체를 의미한다. 다른 변형에서는 오리나 닭고기를 사용할 수 있다. 에스카베체 요리는 식초와 양파를 다른 향신료와 칠리와 함께 많이 사용하여 요리한다.
카오 카우는 ''몬동고'' 또는 내장 스튜로 구성된 식사이며 쌀과 함께 제공된다. 카오 카우에는 여러 버전이 있는데, 선택된 단백질을 요리하는 스타일이기 때문이다. 주목할 만한 두 가지 스타일은 크리올 스타일(단순하게 트라이프 카오 카우)과 이탈리아-페루 스타일이다.
''치차로네스''는 돼지 껍질을 자체 지방에 튀긴 것이다. 치차로네스에는 최소 두 종류가 있다. 돼지 껍질은 먼저 삶은 다음, 치차로네로 갈색으로 변할 때까지 자체 지방에서 렌더링된 시골 스타일의 갈비이다. 튀긴 오징어 및 기타 해산물을 포함한 다른 유형의 치차로네스도 있다. 아침을 포함한 하루 중 언제든지 제공할 수 있다.
''북부 해안''의 요리는 중부 및 남부 품종과 스타일의 차이를 제공한다. 이는 해안 원주민 인도인의 영향(안데스 산맥보다 적음), 스페인, 아프리카의 영향뿐만 아니라 따뜻한 해안 바다, 더운 기후, 엄청난 지리적 위도 다양성 때문이다.
툼베스, 피우라, 람바예케, 라 리베르타드, 카하마르카 및 산 마르틴 간의 다양한 기후는 이 지역의 다양한 요리에 기여한다.
북부 스타일 요리:
세코 데 카브리토(염소 스튜, 양고기, 닭고기 또는 소고기로 대체되는 경우가 많음)는 치차 데 호라(옥수수 맥주)와 고수 및 마늘을 포함한 향신료에 절인 후 냄비에 만든다. 이 요리는 북부 해안, 특히 카하마르카와 람바예케에서 가장 인기가 있다.
세코 데 차벨로(일반적으로 카타카오스 - 피우라에서 유래)는 세코의 일종으로, 반죽하고 말린 고기(바나나, 유카, 아지 판카(Capsicum chinensees) 및 클라리토(치차 데 호라 피우라노 스타일)와 함께 응고 및 건조된 세시나 스튜로 만든다.
세비체 데 콘차스 네그라스(검은 조개가 들어간 ''세비체'')는 피우라와 툼베스의 요리이며, 이 영토가 이전에 에콰도르 관할하에 있었기 때문에 에콰도르 남부 해안에서도 인기가 있다. 이 세비체 버전에서 이 요리에 사용되는 해산물은 구운 옥수수를 곁들인 검은색 대합이어야 한다.
해안 지역에서는 인디카 쌀을 자주 먹으며, 재료와 인디카 쌀을 사용한 볶음밥 요리도 많다.
3. 2. 안데스 산맥 지역
안데스 산맥의 계곡과 평원에서는 옥수수(마이즈), 감자, 다양한 덩이줄기를 중심으로 하는 전통적인 식단이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고기는 알파카, 기니피그와 같은 토착 동물뿐만 아니라 양, 소, 돼지와 같은 수입 가축에서도 얻는다.[12]많은 농촌 문화와 마찬가지로, 더 정교한 요리들은 대부분 축제용으로 준비되었고, 일상 식사는 간단했다. 오늘날에는 도시 거주자들이 축제 요리를 매일 먹는 반면, 농촌 식단은 고기가 적고 ''라후아'' 죽이 많은 경향이 있다.[12]
파차만카는 페루의 독특한 요리이다. 페루 안데스 지역 전체에서 요리되며, 돼지고기와 쇠고기를 포함한 다양한 고기, 허브, 그리고 가열된 돌 바닥에서 천천히 땅속에서 요리한 다양한 채소로 만들어진다. 준비 과정이 번거롭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데스 산맥의 축하나 축제 때만 만들어지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시에네기야와 같이 리마 외곽의 농촌 지역에 많은 "캄페스트레" 레스토랑이 등장했다.[12]
안데스 요리의 주요 담수어는 이 지역의 양식장에서 길러지는 송어이다.[12]
- 쿠이: 기니피그는 통째로 제공되는 경우가 많거나, 타코나 라비올리와 같은 음식의 속으로 사용될 수 있다.[13]
- ''쿠이 차크타도'': 고지대에서 더 인기 있는 요리이며, 튀긴 기니피그 요리이다. 페루 안데스 산맥의 토착 여성들은 종종 자신의 오두막에서 기니피그를 기른다. 기니피그는 별도의 식사로 사용되는 것 외에도, 다른 고기와 채소와 함께 파차만카에서 요리되기도 한다.[13]
- ''오유키토 콘 차르키''는 또 다른 전통적인 안데스 요리이다. 오유코는 잉카 이전 시대의 사람들이 길들인 노란색 덩이줄기(''울루쿠스 투베로수스'')로, 색깔이 다채로운 작은 안데스 감자와 시각적으로 비슷하지만, 요리하면 독특한 아삭한 질감을 갖는다. ''차르키''는 안데스 고지대에서 소금에 절인 후 탈수하여 고기를 건조시키는 기술이다(영어 단어 "jerky"는 이 안데스 (케추아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요리는 잘게 썬 오유코와 차르키 조각(전통적으로 알파카 또는 드물게 라마 고기, 오늘날에는 양고기로도 매우 흔하게 만든다)을 넣은 스튜로, 흰쌀밥과 함께 제공된다.
- ''로코토 레예노'': 아레키파 요리이며, 속을 채운 로코토 고추로 만든다. 로코토는 페루에서 매우 매운 고추 중 하나이다. 이 요리에서는 향신료를 넣은 쇠고기 또는 돼지고기, 양파, 올리브, 달걀 흰자로 속을 채운 다음, 치즈와 우유를 덮은 감자와 함께 오븐에서 굽는다.
- ''토코시'' 또는 ''토고시''는 발효된 감자 펄프로 준비된 전통적인 케추아 음식이다.
- ''푸카 피칸티'': 아야쿠초 요리이며, 흰 감자, 사탕무, 노란색 고추, 민트, 땅콩으로 만든다.
페루 레스토랑에서는 스테이크를 감자 튀김 대신 밥과 함께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3. 3. 아마존 지역
아마존 요리는 아마존 열대 우림 지역의 현지 식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다. 생물학적으로 다양한 정글에서 많은 동물 종이 식용으로 사냥되지만, 대표적인 것은 다양한 요리로 준비되는 파이체(세계에서 가장 큰 민물고기 중 하나)이다. 이 외에도 가미타나, 사발로(''Salminus hilarii'', ''Salminus'' 참조), 투쿠나레, 보키치코, 팔로메타, 바그레 등 다양한 종류의 물고기가 있으며, 피라냐와 같은 물고기도 "팀부체"(수프) 또는 "파타라쉬카"(채소 구이)와 같은 다양한 요리로 준비된다.[14] 거북이 중에는 모텔로(육지 거북)와 차라파, 타리카야(강 거북)가 있다. 페루에서는 거북이 사냥이 금지되어 있어 거북이를 사용한 요리는 희귀하고 비싸며, 식당에서 ''à la carte''로 판매되지 않는다. 다른 동물로는 마야스, 사지노, 아구티와 정글 포유류가 있으며, 이들은 통칭하여 "카르네 데 몬테"라고 불린다.[14] 검은카이만 또한 별미로 여겨지지만 페루 법에 따라 사냥이 금지되어 있다.페루 정글의 과일 중에는 카무카무가 있는데, 이는 키위보다 40배 더 많은 비타민 C를 함유하고 있다. 망고, 파인애플, 스타 애플과 같은 비토착 과일도 풍부하며, 맘메 애플, 체리모야, 구아나바나, 타페리바, 코포아주, 아구아헤와 헝구라위와 같은 건조 과일과 같은 다른 정글 과일도 있다.
후아네는 강황으로 양념하고 ''비하오'' 잎으로 싼 쌀과 닭고기 요리이다. 차포는 달콤한 플랜틴으로 만든 음료이다. 아마존에서는 유카, 쌀 외에도 푸른 바나나도 먹는다.
4. 주요 식재료
페루는 감자, 퀴노아 등 다양한 작물의 유전자 다양성 중심지로 알려져 있다.[3][4] 특히 안데스 산맥은 다양한 종류의 감자 원산지로,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감자의 99% 이상이 ''Solanum tuberosum''라는 단일 아종에서 유래했다.[5][6]
페루에서 재배되는 주요 식재료는 다음과 같다.
식재료 | 종류 및 특징 |
---|---|
감자 | 매우 다양한 종류, 안데스 산맥 원산[3][4] |
고구마 | 최소 5,000년 전부터 재배[7], 다양한 종류 존재 |
퀴노아 | 3가지 종류 |
카니와 | |
타르위 | 루핀 콩과 유사, 안데스 산맥 원산지 |
리마콩 | |
마카 | |
오카 | 감자와 유사한 덩이줄기 |
마슈아 | 감자와 유사한 덩이줄기 |
울루코 | 감자와 유사한 덩이줄기 |
카이과 | 오이와 비슷한 맛 |
Capsicum baccatum 칠리 고추 | 아히 아마리요, 아히 리몬 포함 |
Capsicum pubescens | 로코토 칠리 |
Capsicum chinense | 아히 판카, 아히 모체로/리모 |
과일 | 약 20가지 토종 과일 |
안데스 지역 원산 과일로는 루쿠마, 카무카무, 손바닥 선인장, 페루의 땅콩, 코코나, 파카이, 구아나바나, 용과, 페피노, 파파야, 시루엘라, 맘미 애플, 바나나 패션프루트, 체리모야, 그라나딜라, 모리체 야자 열매, 타마릴로 등이 있다. 야콘은 덩이줄기이지만 과일로도 사용된다.
스페인은 감자, 콩 등 페루 원산의 여러 작물을 유럽에 전파했다. 특히 감자는 유럽에서 가축 사료로 여겨졌으나, 프랑스 화학자 앙투안 오귀스탱 파르망티에의 노력으로 식용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스페인이 유럽으로 가져간 고추, 감자, 토마토, 옥수수는 페루가 원산지였다. 그러나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품종은 멕시코와 중앙 아메리카에서 유래한다. 페루의 아히 고추는 남미 안데스 지역 외부에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페루에서 재배되는 옥수수는 달콤하고 알갱이가 크지만, 페루 외에서는 널리 소비되지 않는다. 토마토의 야생 조상인 ''Solanum pimpinellifolium''은 페루와 에콰도르 아마존의 서부 남미가 원산지이다.
스페인에서 유래한 밀, 보리, 귀리, 쌀, 렌즈콩, 병아리콩, 잠두, 마늘, 양배추, 브로콜리, 콜리플라워, 아티초크, 양파, 오이, 당근, 셀러리, 상추, 가지, 와인, 식초, 올리브,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수많은 향신료, 바나나, 모과, 사과, 오렌지, 라임, 살구, 복숭아, 자두, 벚나무, 멜론, 무화과, 석류, 꿀, 백설탕, 아몬드, 호두, 치즈, 암탉 달걀, 소의 우유 등은 현재 페루의 주식으로 여겨진다.
1970년대부터 토착 식물들을 알리려는 노력이 있었으며 고대 페루 사회가 재배했던 일부 식물들은 현대 페루인들에 의해 재발견되었다. 퀴노아, 카니와 (가짜 곡물) 마카와 같은 뿌리 채소 등은 영양학적 가치가 높아 미래 식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1985년부터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은 퀴노아, 키위차, 마카를 우주 비행사 식단에 사용해왔다. 최근에는 페루 문화부와 유명인사들의 홍보로 국제적인 인지도가 높아졌다. 그러나 안데스 재료의 상업화는 원주민 토지에서 작물 다양성을 감소시키고, 가격 상승으로 인해 원주민들의 접근성이 낮아지는 문제점도 야기하고 있다.[8]
페루 요리는 기본 재료인 ''아히'' 고추로 매운 맛을 내지만, 맵지 않은 고추는 요리에 맛과 색을 더한다. 쌀은 페루 요리에 자주 곁들여진다.
5. 대표 요리
세비체는 페루의 대표적인 해안 요리 중 하나로, 절인 생선이나 해산물에 허브를 곁들여 애피타이저로 제공된다. 순수, 혼합, 어패류 혼합 등 다양한 변형이 있으며 지역에 따라 조리법이 조금씩 다르다. 주로 짧게 절인 해산물 덩어리를 카모테(고구마)와 페루 쵸클로 세라노(옥수수) 커널과 함께 낸다. 절임 양념은 안데스 칠리 고추, 양파, 그리고 스페인에서 들여온 향긋한 라임 품종의 주스로 만든다.[10] 라임 주스에 칠리를 섞어 절인 흰살 생선(코르비나 또는 흰 농어 등)으로 만든 한 입 크기의 조각으로 구성되며, 주로 생 양파, 삶은 고구마(카모테), 구운 옥수수(칸차)와 함께 제공된다.[10]
페루인들은 세비체가 최음제이자 숙취 해소제라고 믿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맥주와 함께 먹기 때문일 수 있다. 멕시코와 에콰도르의 세비체와는 달리 페루에서는 토마토를 사용하지 않는다. 세비체에 사용되는 절임 양념은 '레체 데 티그레(호랑이 우유)'라고도 불리며, 가볍고 매운 맛이 특징이다.
추페 데 카마로네스(새우 치오피노)는 담수 새우(가재) 육수에 감자, 우유, 칠리 고추를 넣어 만든 페루 해안 요리이다. 아레키파 요리 전문 페루 레스토랑에서 주로 맛볼 수 있다.
차우파 볶음밥은 고추, 양파, 마늘, 간장, 달걀, 닭고기, 참기름, 생강, 커민으로 만드는 페루식 중국 볶음밥이다.
안티쿠초는 소 심장을 다양한 페루 향신료에 절여 만든 꼬치구이로, 삶은 감자나 옥수수와 함께 구워 먹는다. 거리 노점상이나 크리올 음식 레스토랑에서 맛볼 수 있다.
파파 아 라 완카이나(완카요 스타일 감자)는 얇게 썬 삶은 감자를 양상추 위에 올리고 올리브를 곁들인 후, 약간 매운 치즈 소스를 뿌려 만든다.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복합적인 맛과 질감을 지녀 페루 레스토랑 요리사들에게 인기가 높다.[11]
폴로 아 라 브라사(페루식 회전구이 또는 로스터 치킨)는 페루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음식 중 하나로, 다양한 페루 재료가 들어간 마리네이드에 절인 닭고기를 뜨거운 재에 굽거나 꼬치에 구워 만든다.
로모 살타도는 얇게 썬 소고기(안심)를 마늘, 커민 가루, 토마토, 스페인 양파와 함께 볶은 후, 튀긴 감자, 고수, 파슬리를 섞어 볶고 흰 쌀밥을 곁들여 먹는 요리이다.
6. 음료
페루에서는 다음과 같은 음료들을 흔히 접할 수 있다.
- 치차 모라다
- 잉카 콜라
- 콜라 인글레사
- 콜라 에스코세사


이 외에도 카무카무 주스와 우냐 데 가토 차와 같이 덜 흔한 음료도 있다. 주류로는 피스코가 페루의 국가적인 음료이며,[19][20] 와인과 맥주도 생산 및 소비된다. 치차 데 호라는 안데스 지역에서 주로 소비되는 전통 음료이다.
6. 1. 청량 음료
페루에서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청량 음료는 다음과 같다.
- '''치차 모라다''': 삶은 자색 옥수수를 기본으로 하여 만든 정향 맛의 음료로, 넉넉한 양의 정향 가루와 설탕, 계피, 얼음을 식혀서 넣는다. 때로는 파인애플 조각을 넣기도 한다. 맛은 옛날 정향 맛 사탕을 연상시킨다.
- '''잉카 콜라''': 레몬 버베나 맛의 탄산 음료(''verbena de limon'')로 문화적 아이콘이며, 전국에서 가장 소박한 식탁부터 가장 고급스러운 식탁까지 제공된다. 노란색이며 매우 달콤하다(사탕과 같은 맛). ''잉카 콜라''는 페루 판매량에서 코카콜라를 이겼으며, 스코틀랜드의 이른 브루를 제외하고 세계에서 코카콜라를 이긴 유일한 자국 음료이다.[18] 이는 주로 페루인들 사이에서 만연한 민족주의와 잉카 콜라가 페루 제품이라는 점을 이용한 광고 캠페인 때문이다. 그러나 1997년에 코카콜라는 잉카 콜라 회사의 49%를 인수했다.
- '''콜라 잉글레사''': 1912년 영국 창업자 에린 스톤이 선보인 체리 맛의 붉은색 탄산 음료이다.
- '''콜라 에스코세사''': 아레키파 시의 전통적인 보라색 탄산 음료이다. 이 음료는 1950년대부터 광천수를 사용하여 생산되었다.
덜 흔한 음료는 다음과 같다.
- '''카무카무''': 물과 설탕을 섞어 만든 다양한 맛의 주스로, 작은 식당에서 오늘의 정식 메뉴와 함께 제공되는 경우가 많다. 카무카무 외에도 오렌지와 같은 더 흔한 맛이 있다.
- '''우냐 데 가토''': 아마존에서 온 식물인 고양이 발톱(''Uncaria tomentosa'')으로 만든 차로, 치유 또는 약효가 있다고 여겨져 섭취된다.
6. 2. 주류
'''피스코'''는 브랜디의 일종으로 페루의 국가적인 음료이다.[19][20] 이는 스페인 술인 오루호를 대체하기 위해 식민지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오루호는 와인 생산의 찌꺼기로 만든 제품이다. 피스코는 와인 제조와 마찬가지로 신선한 포도를 사용하며, 포도로 만든 증류주로 페루의 여러 지역에서 생산된다. 피스코 사워는 ''피스코''에 라임 주스, 달걀 흰자, 설탕 시럽을 섞어 만든 칵테일이다. 칠카노[21] 역시 피스코로 만들어진다.와인은 이카 주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생산된다.
맥주는 많은 국가와 마찬가지로 사회 모든 계층에서 인기가 있다. 현지 브랜드로는 필센 카야오와 크리스탈이 있으며, 그 외 지역 맥주로는 아레키파의 아레키페냐, 쿠스코의 쿠스케냐, 트루히요의 필센 트루히요가 있다. 쿠스케냐는 전국적으로 인기가 있으며 전 세계로 수출된다. 많은 페루 남성들 사이에서 흔한 맥주를 마시는 의식은 여러 사람이 한 잔의 잔을 공유하는 것이다. 병을 가진 사람은 앞 사람이 잔을 마시고 나면 잔을 받아 채우고 다음 사람에게 병을 넘겨준다. 이 관습은 사회 하위 계층의 남성들에게서 더 흔하지만, 상류층 사람들, 특히 젊은이들과 때로는 여성들도 재미로 이 관습에 참여한다.
치차 데 호라는 또 다른 유명한 음료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발효된 옥수수와 다양한 허브를 기반으로 한다. 그 소비는 주로 안데스 지역에 국한된다.
7. 유명 요리사
참조
[1]
뉴스
Peruvian Cuisine Takes on the World
https://www.nytimes.[...]
1999-05-26
[2]
간행물
Food incursions into global heritage: Peruvian cuisine's slippery road to UNESCO: Food incursions into global heritage
http://berghahnjourn[...]
2016-08
[3]
Webarchive
The Peruvian Potato Park
http://www.farmersri[...]
2021-01-21
[4]
서적
Cambridge World History of Food
http://www.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9
[5]
간행물
Molecular description and similarity relationships among native germplasm potatoes (Solanum tuberosum ssp. tuberosum L.) using morphological data and AFLP markers
http://www.scielo.cl[...]
[6]
웹사이트
Using DNA, scientists hunt for the roots of the modern potato
http://www.eurekaler[...]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2008-01-29
[7]
Webarchive
Sweet Potato
http://www.cgiar.org[...]
2005-02-07
[8]
간행물
Beyond culinary colonialism: indigenous food sovereignty, liberal multiculturalism, and the control of gastronomic capital
https://doi.org/10.1[...]
2018-09-01
[9]
웹사이트
El-Clima-De-Peru
http://internacional[...]
Internacional.universia.net
2007-09-20
[10]
뉴스
A LA CARTE; Tasting the Robust, Earthy Food of Peru
https://www.nytimes.[...]
2021-06-03
[11]
문서
Papa Huancaina section
http://www.goandes.c[...]
[12]
Webarchive
Places for Pachamanca in Lima Surroundings
http://www.sazonperu[...]
2007-12-06
[13]
간행물
Cooking Up Heritage: Culinary Adventures of Peru's Past
https://www.tandfonl[...]
2020-04-20
[14]
웹사이트
Riqueza de la Fauna
http://www.siturismo[...]
Siturismo
2012-03-26
[15]
Webarchive
http://www.sazonperu[...]
2007-12-06
[16]
Webarchive
http://www.sazonperu[...]
2007-12-06
[17]
웹사이트
▷ Mazamorra Morada: Best Peruvian Recipe 2022 ✔️
https://reciperuvian[...]
2022-05-27
[18]
뉴스
Irn Bru is bigger than Coke — in Scotland
https://www.thetimes[...]
[19]
웹사이트
¿Qué es el pisco y dónde se produce? {{!}} Buenazo.pe
https://buenazo.pe/n[...]
2021-09-23
[20]
웹사이트
¡Nada más peruano que el Pisco! Conoce todo sobre la bebida más emblemática de los peruanos
https://peru.info/es[...]
2022-07-18
[21]
웹사이트
Chilcano de Pisco - Peruvian Brandy Cocktail - Chilcano de Pisco Recipe
http://southamerican[...]
Southamericanfood.about.com
2012-03-26
[22]
웹사이트
Turrón de Doña Pepa: sweet Peruvian tradition
https://www.peru.tra[...]
2022-07-18
[23]
웹사이트
Religion Mixed with Food: Turrón de Doña Pepa
https://recipes.hypo[...]
2019-03-21
[24]
문서
Analysis of Innovation in Peru's Gastronomic Industry
https://publications[...]
Inter-American Development Bank
2022
[25]
서적
Peruvian Lives across Borders: Power, Exclusion, and Home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8
[26]
웹사이트
Peruvian Cuisine Takes On the World
https://www.nytimes.[...]
2023-03-07
[27]
웹사이트
Central
https://www.theworld[...]
The World’s 50 Best Restaurants
2024-09-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